반응형
2025년 청년들을 위한 주요 저축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청년내일저축계좌
- 대상: 만 19~34 중위 소독 50% 정도
- 저축 방식: 매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10만 원 추가 지원
- 지원 금액: 3년간 총 720만 원 (중위소득 50% 이하일 경우 최대 1,440만 원)
- 특징: 근로 유지, 금융교육(10시간) 필수, 자금 사용 계획서 제출 필요
- 신청 방법: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2. 희망저축계좌
- 대상: 만 15~39세 저소득층
- 저축 방식: 매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10만 원 추가 지원
- 지원 금액: 3년간 총 720만 원
- 2025년 변경사항: 정부 매칭 비율 증가 → 최대 1,440만 원까지 지원 가능
- 신청 방법: 국민은행, 신한은행, 농협 등 지정은행 방문 신청
3. 청년도약계좌
- 대상: 만 19~34세, 연소득 6,000만 원 이하 청년
- 저축 방식: 본인이 최대 70만 원 저축 가능, 정부 기여금 추가 제공
- 지원 금액: 5년간 최대 1,980만 원
- 특징: 높은 저축 한도, 비과세 혜택, 부분 인출 가능
- 신청 방법: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카카오뱅크 등에서 온라인/오프라인 신청
이외에도 지역별로 추가적인 청년 자산 형성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으니, 거주 지역의 복지포털이나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반응형
'금융에 관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상공인 확인서 시간이 되신다면 받아 놓으세요! (1) | 2025.03.01 |
---|---|
조기 폐차 지원금? (0) | 2025.02.28 |
청년수당이란? (0) | 2025.02.21 |
소상공인 지원 대출이란? (0) | 2025.02.19 |
제조업들이 대출이 더 나오는 이유? (0) | 2025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