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금융권 vs 2금융권 차이
금융기관은 일반적으로 1금융권과 2금융권으로 나뉩니다. 두 금융권은 대출 금리, 신용 등급 영향, 금융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
1. 1금융권이란?
✔ 정의: 정부 및 금융감독원이 관리하는 은행 중심의 금융기관
✔ 대표 기관:
- 시중은행: 국민은행(KB)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 등
- 지방은행: 부산은행, 대구은행, 광주은행 등
- 특수은행: 한국산업은행, 수출입은행, 기업은행 등
- 인터넷은행: 카카오뱅크, 케이뱅크 등
✔ 특징: - 예금 금리는 낮지만 대출 금리가 낮음 (보통 연 3~6% 수준)
- 신용 평가 기준이 엄격하여 소득과 신용도가 높아야 대출 승인 가능
- 정부 규제가 많아 안정성이 높음
2. 2금융권이란?
✔ 정의: 은행이 아닌 기타 금융기관으로, 비은행 금융기관
✔ 대표 기관:
- 저축은행: SBI저축은행, OK저축은행 등
- 보험사: 삼성생명, 한화생명 등
- 캐피탈사: 현대캐피탈, KB캐피탈 등
- 카드사: 신한카드, 현대카드 등
- 상호금융: 새마을금고, 농협 단위조합, 수협 단위조합 등
✔ 특징: - 예금 금리는 1금융권보다 높음
- 대출 금리가 높음 (보통 연 6~20% 수준)
- 신용평가 기준이 완화되어 소득이 낮거나 신용도가 낮아도 대출 가능
- 정부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음
3. 1금융권 vs 2금융권 비교표
구분 1금융권 (은행) 2금융권 (저축은행, 캐피탈 등)
금리 | 예금금리 낮음, 대출금리 낮음 (3~6%) | 예금금리 높음, 대출금리 높음 (6~20%) |
대출 승인 | 신용등급, 소득 요건 엄격 | 신용등급 낮아도 대출 가능 |
정부 규제 | 규제가 많아 안정적 | 규제가 적어 대출 쉬움 |
신용등급 영향 | 대출 시 신용등급 영향 적음 | 대출 시 신용등급 하락 가능 |
주 이용자 | 공무원, 직장인, 신용도 높은 고객 | 신용등급 낮은 고객, 자영업자 |
4. 어떤 금융권을 이용해야 할까?
✅ 신용이 좋고 낮은 금리 대출을 원하면 → 1금융권
✅ 신용이 낮고 대출 승인이 어려우면 → 2금융권
✅ 급전이 필요하지만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싶다면 → 1금융권 우선 이용 후 부족하면 2금융권 고려
📌 주의할 점
- 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으면 신용등급이 크게 하락할 수 있음
- 2금융권의 금리가 높아 장기 대출은 부담될 수 있음
👉 결론적으로 가능하면 1금융권을 우선 이용하고, 어려운 경우 2금융권을 신중히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. 😊
반응형
'금융에 관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후 대책 장기 투자형 상품은 무엇이 있을가? (0) | 2025.02.08 |
---|---|
소액대출에 관하여 이야기 해봅시다. (0) | 2025.02.08 |
토지 대출이란? (0) | 2025.02.02 |
농지 대출에 관한 것 (1) | 2025.02.01 |
청년 대출과 이자는? (0) | 2025.02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