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융에 관해

1금융권 2금융권 ?

대출 관련 2025. 2. 8. 12:22
반응형

1금융권 vs 2금융권 차이

금융기관은 일반적으로 1금융권2금융권으로 나뉩니다. 두 금융권은 대출 금리, 신용 등급 영향, 금융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


1. 1금융권이란?

정의: 정부 및 금융감독원이 관리하는 은행 중심의 금융기관
대표 기관:

  • 시중은행: 국민은행(KB)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 등
  • 지방은행: 부산은행, 대구은행, 광주은행 등
  • 특수은행: 한국산업은행, 수출입은행, 기업은행 등
  • 인터넷은행: 카카오뱅크, 케이뱅크 등
    특징:
  • 예금 금리는 낮지만 대출 금리가 낮음 (보통 연 3~6% 수준)
  • 신용 평가 기준이 엄격하여 소득과 신용도가 높아야 대출 승인 가능
  • 정부 규제가 많아 안정성이 높음

2. 2금융권이란?

정의: 은행이 아닌 기타 금융기관으로, 비은행 금융기관
대표 기관:

  • 저축은행: SBI저축은행, OK저축은행 등
  • 보험사: 삼성생명, 한화생명 등
  • 캐피탈사: 현대캐피탈, KB캐피탈 등
  • 카드사: 신한카드, 현대카드 등
  • 상호금융: 새마을금고, 농협 단위조합, 수협 단위조합 등
    특징:
  • 예금 금리는 1금융권보다 높음
  • 대출 금리가 높음 (보통 연 6~20% 수준)
  • 신용평가 기준이 완화되어 소득이 낮거나 신용도가 낮아도 대출 가능
  • 정부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음

3. 1금융권 vs 2금융권 비교표

구분 1금융권 (은행) 2금융권 (저축은행, 캐피탈 등)

금리 예금금리 낮음, 대출금리 낮음 (3~6%) 예금금리 높음, 대출금리 높음 (6~20%)
대출 승인 신용등급, 소득 요건 엄격 신용등급 낮아도 대출 가능
정부 규제 규제가 많아 안정적 규제가 적어 대출 쉬움
신용등급 영향 대출 시 신용등급 영향 적음 대출 시 신용등급 하락 가능
주 이용자 공무원, 직장인, 신용도 높은 고객 신용등급 낮은 고객, 자영업자

4. 어떤 금융권을 이용해야 할까?

신용이 좋고 낮은 금리 대출을 원하면 → 1금융권
신용이 낮고 대출 승인이 어려우면 → 2금융권
급전이 필요하지만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싶다면 → 1금융권 우선 이용 후 부족하면 2금융권 고려

📌 주의할 점

  • 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으면 신용등급이 크게 하락할 수 있음
  • 2금융권의 금리가 높아 장기 대출은 부담될 수 있음

👉 결론적으로 가능하면 1금융권을 우선 이용하고, 어려운 경우 2금융권을 신중히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. 😊

반응형